1. vsftpd 설치 : Linux에서 사용하는 FTP서버데몬
설치명령은 아래와 같다. (별도로 관련파일 복사없이 그냥 명령어만 치니까 설치가 되더라.
참고로 홈페이지는 https://security.appspot.com/vsftpd.html )
# yum install vsftpd
2. 환경파일 설정
# vi /etc/vsftpd/vsftpd.conf
anoymous_enable=NO //익명으로 접속시 NO
pasv_enable=YES //엑티브모드로 사용할 시 NO
3. FTP용 계정생성
# useradd 계정명
# passwd 계정명
4. 방화벽 설정 : iptables에 20, 21번 포트를 등록해준다.
# vi /etc/sysconfig/iptables
////////////////아래의 내용 추가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20 -j ACCEPT
-A 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21 -j ACCEPT
//iptable재기동
# service iptables restart
5. FTP서버기동
# service vsftpd start (종료 : stop, 재기동 : restart)
부팅시 FTP자동실행 설정
chkconfig --level 2345 vsftpd on
7. 프로세스 확인 및 포트확인
# ps -ef | grep vsftpd
# netstat -ntlp
참조 : http://blog.naver.com/newkyh00?Redirect=Log&logNo=30111155337
1. 500 OOPS: could not open chroot() list file:/etc/vsftpd/chroot_list
참조 : http://uiandwe.tistory.com/160
2. ftp: connect: No route to host
참조 : http://vstu77.blog.me/120050132415
리눅스에서 ftp를 사용할 때에 ftp: connect: No route to host
라는 메시지가 나올 때가 있다.
이럴 경우에는 host server 의 iptable을 살펴 보아야 한다.
사용 하지 않을 거면 iptables 를 stop 한다
#/etc/init.d/iptables stop
그 후
500 OOPS : cannot change directory:/root
500 OOPS : child died
라고 나오는 경우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# setsebool -P ftp_home_dir=1
3. vsftp에서 500 OOPS: cannot change directory 오류가 나올 때
참조 : http://opencode.co.kr/bbs/board.php?bo_table=linux_tips&wr_id=27
/etc/vsftpd/vsftp.conf를 수정했는데도 불구하고 500 애러가 나오면서 접속이
안될때는
SELinux 때문이라고 합니다.
# setsebool -P ftp_home_dir=1
이렇게 하면,
ftp directory에 대한 접근을 허가 하게된다.
"-P"는 Rebooting 될더라도 값을 저장하여,
정상적으로 동작
하도록 한다.
vsftpd(vsftp
데몬)의 상태를 보기
service vsftpd status
iptables(방화벽)의 상태를 보기
service
iptables status
4. vsftpd.conf 파일의 정보
참조 : http://kch1183.blog.me/50099324984
5. CentOS. FTP 총정리
참조 : http://blog.naver.com/newkyh00?Redirect=Log&logNo=30111155337
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/
실제로 설치하면서 발생했던 오류들
- OOPS: cannot change directory:/home/ueco
-> # setsebool -P ftp_home_dir=1 명령으로 해결
- OOPS: could not read chroot() list file:/home/ueco
-> vsftp.conf설정에서 chroot관련 설정을 모두 주석처리함
- OOPS: 500 OOPS: child died
디렉터리 목록을 획득할 수 없습니다.
Entering Passive Mode (10,250,114,243,21,35).
->컴퓨터의 FTP툴에서 Passive 모드를 비활성화해서 접속함
가볍게 실행이 가능하다.
실행을 해보자.
설치는 root로 하였지만 실행은 개인 계정으로 실행했다.
이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. GUI 이므로 쉽게 서버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다운 받을 수 있을 것이다.
프로토콜은 위와 같이 지원한다.
'Linux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Apache 설치 (0) | 2012.03.05 |
---|---|
CentOS APM 설치 (0) | 2012.03.02 |
CentOS ssh 접속 한글깨짐 수정 (0) | 2012.03.02 |
CentOS 방화벽 설정 (0) | 2012.03.02 |
CentOS 명령어 (0) | 2012.03.02 |